소프트웨어 공학용 수학

과학적 사고방법

단점이없어지고싶은개발자 2022. 10. 21. 20:58
반응형

과학적 사고방법(scientific reasoning)

  • 수학과 과학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 왜에서 출발하여 결과를 도출하는 행위
  • 확률과 비율을 사용하여 진리에 근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 과학적 연구의 신뢰도를 확보하는 논리적 사고 체계
  • 이러한 방식을 가설 - 연역 방법이라고 한다.

귀납법과 연역법

  • 귀납법 : 관찰을 통해 확인한 현상들로부터 보편적인 결과를 도출하는 추론 방법
  • 예) 해가 1800년도에 동쪽에서 떴다, 해가 조선시대에 동쪽에서 떴다, 현재도 동쪽에서 뜬다. 해는 동쪽에서 뜬다.
  • 연역법 : 하나 이상의 전제에서 논리적으로 특정 결론에 도달하는 추론방법
  • 예) 사람은 죽는다, 난 사람이다, 나는 죽는다.

과학적 사고방법 과정

  1. 어떤 현상을 관찰한다.
  2. 그 현상이 생기는 이유를 고민한 뒤, 그로부터 문제를 제기한다.
  3. 그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가설을 만든다.(귀납)
  4. 그 가설에 따라 어떤 현상이 발생할 것이라는 예측을 한다.(연역)
  5. 그 예측이 맞는지 실험을 한다.(검증)
  6. 예측이 틀리면 3번으로 돌아가 반복한다.

과학적 사고방법이 주는 교훈

  1. 관찰 결과가 제일 중요하다 - 재현중요!!
  2. 필연적인 인과관계를 찾는다.(못 찾으면 덮어야 한다.)
  3. 가설이 늘 맞는건 아니다.
  4. 테스트한 데이터가 없다면 허구다.

머신러닝과 알고리즘 동작 과정

  1. 여러 쌍을 머신러닝 알고리즘에 대입한다.
  2. 알고리즘 입력값에 있는 특징들을 추출한다.
  3. 알고리즘이 데이터의 각 특징들과 그 결과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분석한다.
  4. 그 데이터로부터 입력값을 결롸로 만들어 자기만의 공식을 알아서 만든다.
  5. 이제 결과는 없고, 입력값만 있는 데이터가 들어오면 그 공식에 따라 결과를 예측한다.
  6. 그 예측이 틀리면 위 과정을 반복한다.
반응형

'소프트웨어 공학용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벡터에 대해서  (0) 2022.11.19
수학적 귀납법  (0) 2022.10.31
조건명제, 증명  (1) 2022.10.18
교환, 결합, 분배, 흡수 법칙, 논리회로  (1) 2022.10.14
명제, 불 대수, 논리 회로 설계  (0) 2022.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