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컴퓨터는 2진수만 사용한다.
트래지스터(transistor) : 가장 작은 단위
- 흔히 말하는 '반도체'
- 반도체란? 전기가 거의 흐르지 않지만 열이나 빛을 가하면 전기가 흐르는 물체
- 컴퓨터 필요 존재
2진수로 사용하는 이유는 숫자로 표현하기 적절하다
0은 Off, 1은 On
하나의 트래지스터의 상태를 기록하는 최소 단위를 비트라고 부름
bit -> 작은 조각
- 디지털 세계에서 가장 작은 데이터단위
- 딱 두가지의 값을 표현 가능
- 2개의 숫자만 필요하기 때문에 2진법을 사용
- 그렇기 때문에 2진수가 컴퓨터에 중요한 이유
- 컴퓨터 데이터는 어떤 것이라도 비트를 모아 만든 것
- 마치 현실 세계에서 모든 것들도 원소기호를 조합해서 만들 수 잇듯이..
비트수와 오디오 포맷
- wav, mp3, FLAC
- 오디오 품질은 비트 수에 따라 결정
- 비트레이트(bitrate)
- 특정한 시간 단위(초)마다 저장된 데이터(비트)의 양 kbit/s
- 비트 뎁스(bit depth)
- 그래프에수 수직축
-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
- 초마다 캡쳐하는 샘플의 수
- 단위 : 헤르츠(Hz)
오디오 파일 크기 계산
- 샘플링 레이트, 비트뎁스, 재생시간(초), 채널 수를 곱하면 된다.
하지만 저장 할 때는?
바이트단위로 저장한다.
바이트(bite)동사로 묻다, 소량의 식사.
비트가 8개 모인 데이터
8bit = 1byte / 8b = 1B
왜 바이트를 사용할까?
bit 단위는 너무 작기 대문이다. 메모리 또는 저장매체 보관되어 있는 데이터를 읽어 올 때의 최소단위로 사용한다.
킬로 | 1,000 | 1KB | 2의 10승 |
메가 | 1,000,000 | 1MB | 2의 20승 |
기가 | 1,000,000,000 | 1GB | 2의 30승 |
테라 | 1,000,000,000,000 | 1TB | 2의 40승 |
페타 | 1,000,000,000,000,000 | 1PB | 2의 50승 |
컴퓨터에서 1K는 1000이 아니다. 1024다. 1024를 2진수로 표현하면 2의 10승이기 때문이다. 1000은 1111101000(2)가 된다.
하지만 예외적으로 하드디스크제조사, 네트워크 카드 제조사는 1000을 쓴다. 그래서 하드디스크를 보면 500GB지만, 용량이 더 작아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제조사 표기 기준이 이진법이 아닌 십진법으로 표기한다. 표기법에 따른 차이가 나타낸 헤프닝이다.
기억장치/표기 용량과 실제 - 나무위키
namu.wiki
반응형
'소프트웨어 공학용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수 (2) | 2022.09.24 |
---|---|
다양한 진법과의 관계 (0) | 2022.09.23 |
진수 변환 및 2진법, 8진법, 16진법 (0) | 2022.09.18 |
숫자 체계 및 10진법 (0) | 2022.09.17 |
수학이란? (0) | 2022.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