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담

청년버팀목전세자금대출 후기 (1)

단점이없어지고싶은개발자 2023. 9. 8. 02:20
반응형
반응형

 

  2022년 5월 ~ 2023년 5월까지 월세를 살다가, 2023년 3월 계약만료전에 집을 어떻게 해야되나 깊게 고민했었다. 그 때 당시 월세였어서, 고정비에 대한 부담과 한 푼이라도 아끼는 마음에 전세를 알아봤다. 이곳 저곳에서 글을 모았었고, 한 달동안 공부를 했었다(?)

 

공부를 하면서 내가 받을 수 있는 베스트 오브 베스트 대출은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이였다. 나의 상황으로는 아래 3가지가 끝이였다.

  1. 30살
  2. 수중에 가지고 있는 돈은 엄마에게 빌렸던 월세방 보증금 2,500만원
  3. 직장 재직 7개월차
  4. 모아둔 돈 없음

 

그러기에, 대출이 더더욱 필요했다. 그래서 알아봤던 대출은 아래와 같다. 서울시 기준이다.

대출이름 이율 장점 단점
청년버팀목전세자금대출 - 1.5 ~ 2.1(2023년 8월 30일 이후로 0.3%씩 다올랐다... 내 돈)
- 2억 이하
- 이율이 저렴하다.
- 한 번 받으면, 10년 동안 지속 가능하다.
- 청년이라면 이용하기 딱 좋다.
- 이 안에서 HF, HUG로 나뉘어져 있어서 따져야 할 게 많다.
- 이율이 중간에 바뀐처럼 고정이율이 아니다.
- 전세사기 당할 수 있다.
서울시청년전세자금대출 - 2.59%(서울시에서 2% 지원 금리를 지원해준다.)
- 2억 이내
- 최대 2억이내에 임차보증금 90%까지 커버 가능하다.
- 이율 또한 지원해주기 때문에 기존 금리가 낮다면 더 낮게 커버가 가능하다.
- 서울시에서만 가능하다.
중소기업청년전월세보증금대출 - 1.2%(1억 한도) - 이율이 제일 싸다. 1억을 빌려도 한달에 12만원. - 연봉 3,500이하여야지만 가능
- 1억이라는 한도

 

  위 3가지 외에도 일반 은행에도 빌릴 수 있는 전세자금대출 제도가 있지만, 일단 대출금리 자체가 나라에서 지원해주는 제도를 이용할 수 있으면 이용해야 가장 베스트라고 생각했다. 연봉이 아쉽게 3,500만원보다 살짝 넘기는 바람에 가장 대출금리가 저렴했던 청년버팀목전세자금대출로 진행했다.

 

무조건 청년버팀목전세자금대출을 받는다.


청년버팀목전세자금대출도 나름 까다롭고 HF, HUG 두 가지로 나뉜다. 가장 헷갈리면서도 한 번 알면 명확하다.

  • HF(주택금융공사) : 내 연봉에 *3.5 ~ 4를 곱한 만큼 대출을 해준다. 즉 나의 연봉에 대한 확인이 된다면 대출한도를 알 수 있다. 그래서 내가 전세집을 알아볼 때 어느정도 한도를 정해놓고 집을 알아볼 수 있다. 
  • HUG(주택도시보증공사) : 목적물(임대하려고하는 건물 그 자체)의 신용을 평가 후 한도가 정해진다. 집에 대한 갑구, 을구가 깨끗하고, 불법건축물이면 안되고, 집주인에 대한 세금문제 등 은행에서 꼼꼼히 집을 조사한다.

그래서 나는 집 자체보다는 HF에 초점을 맞추고 예산을 짜고, 그 때부터 네이버 부동산, 다방, 직방, 호갱노노 등 부동산 어플을 깔고, 매일 매물을 찾았다. 

 

조건

  내가 바란 조건은 아래와 같다.

  1. 투룸 혹은 원룸이라면 분리형으로 알아본다.
    - 자취생에게 요리는 돈을 아낄 수 있다. 그러나 한 방 안에 부엌이 함께한다면 냄새가 베기는걸 최소화한다.
  2. 오피스텔과 관리비가 10만원 이상은 피한다.
    - 오피스텔은 깨끗하지만 비싸다. 또한 관리비는 연말정산 혹은 눈먼돈이기 때문에 고스란히 내 현금이 지출되는 문제로 발생한다.
  3. 전세자금은 1억에서 1억5천으로 알아본다.
    - HF로 빌릴 수 있겠다라는 최소한과 최대의 마지노선 그리고 대출이자를 따져봤을 때 커버 가능한 정도의 금액 측정했다.
  4. 역세권 혹은 회사에서 가까운 곳을 찾는다.
    - 교통비를 아끼면 이득, 아니여도 출퇴근 시간을 줄여서 내 시간을 만든다를 목표한다.
  5. 옵션이 최대한 있는쪽을 알아본다.
    - 가구는 비싸고, 내 집이 아니기 때문에 돈을 아끼는 방향으로 생각한다.

 

그래서 저 5개 중에 최소 4개는 되야된다고 생각했다. 왜냐하면 저 정도도 최소한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정리

 

  • 내가 지금 가능한 전세자금대출을 먼저 알아보고, 나라 혹은 내가 속한 시에서 지원해주는 대출을 알아본다.
  • 내가 원하는 집에 대해 정리를 하고, 세분화해서 거를건 거르고, 필수적인 조건을 정리한다. 그래야 집을 알아볼 때 빨리 거르고, 내가 원하는 집을 발견할 수 있다.
  • 부동산 어플마다 올라온 집도 있고, 안올라온 집도 있다. 왠만하면 앱에 매물이 올라오는 것 같다. 두 발로 부동산을 찾는것보단 앱을 활용하자.

 

  그 다음은 각 앱에 대한 장단점과 집을 구하는 후기를 작성해보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