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애자일이란?
단점이없어지고싶은개발자
2022. 1. 27. 19:08
반응형
애자일 방법론이란 소프트웨어 개발. 한국에서는 주로 애자일 방법론이라고 부르는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의 하나이다. 처음부터 끝까지 계획을 수립하고 개발하는 폭포수(Waterfall)방법론과는 달리 개발과 함께 즉시 피드백을 받아서 유동적으로 개발하는 방법이다.
기업이 연말에 1년 계획을 세운다 => 3개월마다 계획을 세운다 => 그 3개월 안에 2주마다 구체적인 방향을 정하고 반복한다 => 회사가 전체적으로 한 방향으로 가는지 확인 => 정기적으로 협업할 일을 논의 및 평가를 하며 방향 확인 및 변화를 준다.
변화에 대응하는 법 변화를 만드는 법에 주력하고 있다. 고객의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겠다는 접근
애자일 흐름과정
기본적으로 스크럼 프로세스에 의해 진행된다
- 스프린트 : 작은 기능에 대한 계획, 개발, 테스트, 기능 완료에 대한 전체주기
- 스프린트 계획 회의 : 스프린트 목표와 백로그를 계획하는 회의
- 스프린트 백로그 : 각각의 스프린트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 목록
- 스크럼 : 개발 과정에 대한 모든 주기(30일 정도)
- 일일 스크럼 회의 : 날마다 진행되는 미팅 어제 한 일, 오늘 할 일, 장애 현상 등을 공유
- 스크럼 마스터 : 프로젝트 관리자
스프린트를 바탕으로 한 피드백 기반 개발방식이다. 작은 기능들을 개발하면서 필요한 기능들이다.
작은 기능들을 개발하면서 필요한 기능들을 더 개발하거나 삭제하고, 점진적으로 개선하는 방식이다.
https://byline.network/2021/06/3-89/
애자일 방법론은 무엇이고, 왜 필요한가 - Byline Network
기업들은 연말이 가까워지면 다음 해 사업계획을 세운다. 연간 목표를 세우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한다. 이 목표와 전략에 기반해 조직이 구성되고 예산이 배정된다. 여기서 시
byline.network
https://namu.wiki/w/%EC%95%A0%EC%9E%90%EC%9D%BC
반응형